[이슈페이퍼 2025-15] 대기업 비정규직 규모 - 고용형태 공시제 결과(2025년 3월 현재) -

이슈페이퍼

[이슈페이퍼 2025-15] 대기업 비정규직 규모 - 고용형태 공시제 결과(2025년 3월 현재) -

[이슈페이퍼 2025-15]  

대기업 비정규직 규모 

- 고용형태 공시제 결과(2025년 3월 현재) -



작성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노동부 고용형태 공시제(2025년 3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 고용형태 공시제 대상 기업은 2014년 2,942개소에서 2025년 4,176개소로 증가. 

  이들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436만명에서 582만명으로 증가.


o 대기업 비정규직(비율)은 2014년 162만명(37.3%)에서 2025년 236만명(40.6%)으로 증가.

- 직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75만명(17.2%)에서 141만명(24.3%)으로 증가. 

- 간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87만명(20.0%)에서 95만명(16.3%)으로 수는 증가, 비율은 감소.


o 박근혜·윤석열 정부 때는 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이 증가하고, 문재인 정부 때는 감소.

- 박근혜 정부(2014~2016년) 때는 37.3%에서 40.1%로 증가. 

- 문재인 정부(2017~2021년) 때는 40.3%에서 37.9%로 감소. 

- 윤석열 정부(2022~2024년) 때는 39.8%에서 41.2%로 증가. 


o 2025년 남성 비정규직(비율)은 138만명(38.4%), 여성 비정규직(비율)은 98만명(44.2%).


o 기업 규모가 클수록 비정규직 비율, 특히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이 높음.

- 1만 명 이상 거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은 44.8%,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은 29.6%로 가장 높음.


o 산업별로는 건설업,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부동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음.

- 제조업에서는 기타운송장비, 1차금속제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음.


o 광역시도 중 서울과 경기가 가장 많은 비정규직을 보유. 

- 비정규직 비율은 전남(53.6%), 울산(52.5%)이 가장 높음.


o 92개 대기업집단 소속 대기업의 비정규직(비율)은 93만명(38.9%). 

- 간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67만명(28.1%).


o 10대 재벌 소속 기업의 비정규직(비율)은 54만명(37.3%), 간접고용은 43만명(30.2%).

- GS(62.9%), HD현대(60.1%), 롯데(52.2%)는 비정규직 비율이 50%가 넘음. 

- LG(12.2%)와 SK(27.3%)는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낮음 


o 1만명 이상 거대기업 비정규직(비율)은 72만명(44.8%), 간접고용은 48만명(29.6%). 

- 맥서브(99.1%), HDC현대산업개발(92.1%), 한국맥도날드(89.8%), 한진(88.7%), 현대건설(87.1%) 등 11개사는 비정규직 비율이 80%가 넘음. 

- LG유플러스(2.1%), LG디스플레이(3.1%), 서울교통공사(2.7%), KT(4.4%), SCK컴퍼니(4.7%), LG에너지솔루션(9.2%) 6개사는 비정규직 비율이 10%가 안 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