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선의 블로그 9 페이지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유선의 블로그
[자료] 주40시간 근무제가 직장인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2011-01-11 | 조회수 : 3813 별첨 파일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학술연구용역으로 작성해서, 2010년 11월 국민여가활동조사 학술심포지엄 때 발표한 "주40시간 근무제가 직장인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전문입니다.
[자료] "비정규직 실태와 대책"(2011.1.27) 발제문
2011-01-27 | 조회수 : 2937 별첨 파일은 민주노동당 부설 참세상연구소와 국민참여당 부설 참여정책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기획토론회 "비정규직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2011.1.27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주제 발표문입니다.
[자료] 최저임금 실태와 개선방안(2011.4.8) 발제문
2011-04-08 | 조회수 : 5459 2011년 4월 8일 참여정책연구원과 홍회덕․홍영표 의원실이 공동주최한 토론회 ‘일하는 자부심을 살리는 최저임금 개선’에서 발표한 주제발표문 "최저임금 실태와 개선방안"(김유선) 전문입니다.
[자료] 최저임금 수준평가와 고용효과(2011.6.1) 발제문
2011-06-06 | 조회수 : 4875 지난 6월 1일 최저임금연대 주최로 열린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김유선의 발제문 '최저임금 수준평가와 고용효과' 이외에 토론자들의 토론문이 함께 실려 있습니다.
[이슈페이퍼 2011-01]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2011년 3월 경활부가조사 결과)
2011-06-07 | 조회수 : 3071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1년 3월)를 분석한 결과 발견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은 2001년 8월 737만 명에서 2007년 3월 879만 명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감소세로 돌아서 2011년 3월에는 831만 명으로 감소했다. 정규직은 2001년 8월 585만 명에서 2011년 3월 875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2001년 …
[이슈페이퍼 2011-02] 주 40시간 알바해도 등록금 마련 힘겨워
2011-06-23 | 조회수 : 4248 주 40시간 알바해도 등록금 마련 힘겨워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 1. 대학생 규모 o 통계청이 2011년 3월에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에서 30세 미만으로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사람은 253만 명이다. - 남자는 138만 명(54.5%)이고 여자는 115만 명(45.5%)이며, 전문대생은 64만 명(25.…
[자료] 고졸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2011-07-11 | 조회수 : 3065 다음 보고서는 2009년에 고용정보원의 연구용역으로 작성한 김유선외(2009), "고졸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정책연구 2009-04) 전문입니다. 이 보고서는 고용정보원 홈페이지에서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슈페이퍼 2012-04]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2012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부가조사 결과)
2012-06-05 | 조회수 : 2904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2년 3월)를 분석한 결과 발견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3월 879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비정규직이, 2010년 3월 828만 명을 저점으로 2011년 3월 831만 명, 2012년 3월 837만 명으로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 2001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55~56% 수준을 유지하던…
[이슈페이퍼 2012-03] 근로소득 불평등
2012-05-17 | 조회수 : 3226 『국세통계연보』에 실린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자료를 사용해서 근로소득 불평등 실태를 계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근로소득자의 임금불평등 지니계수는 2009년 0.494, 2010년 0.503으로 매우 높다. 둘째, 연간 근로소득 1천2백만원(월 백 만 원) 이하의 저임금 근로자는 2010년 570만 명(37…
[칼럼] 비정규직 대책 좋은 예 보여준 서울시(경향신문 2012.4.17)
2012-04-18 | 조회수 : 4547 [칼럼] 비정규직 대책 좋은 예 보여준 서울시(2012.4.17 경향신문) 필자가 학교를 마치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을 때는 정규직이니 비정규직이니 하는 말 자체가 없었다. 일자리 하면 요즘 말로 으레 정규직이었고, 큰 잘못을 범하지 않는 한 갑자기 직장을 그만두는 일은 없었다. 그때 1인당 국민소득은 2000달러가 채 안됐다. 한데 1인당 국민소…